현대기아차 트렁크 도어 열리는 높이 조정하는 방법
세팅 된 높이로 전동 트렁크를 사용하시는게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열리는 높이를 조절해야 하는 순간이 있습니다. 가령 트렁크가 완전이 열리게 되면 파손이 된다던 가 키가 작은 경우 전동 스위치에 손이 안닿는 경우도 발생합니다. 이런 경우 내 몸에 딱 맞게 트렁크 열리는 높이를 조정하면 요긴합니다. 때에 따라 높이 조절을 할 수 있는 방법을 배워두면 더욱 좋겠죠? 이번 글에서는 트렁크의 높이 조절법에 대해서 알려드리니 간편하게 조정해서 내 키에 맞는 트렁크 높이로 사용하세요!
목차
1. 들어가며
차량을 운전하면서 가장 자주 사용하는 기능 중 하나가 트렁크 도어(해치 게이트)입니다. 전동식 트렁크가 장착된 차량의 경우, 트렁크 열림 높이를 개인의 신체 조건이나 환경에 맞게 조절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합니다.
2. 왜 트렁크 도어 높이 조절이 필요할까?
트렁크 도어가 자동으로 열리는 높이는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지만,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조절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키가 작아서 트렁크를 닫기 힘든 경우
- 주차 공간이 낮아서 천장에 부딪힐 우려가 있는 경우
- 아이들이 트렁크를 사용할 때
- 도어가 너무 높이 열려 불편함을 느끼는 경우
3. 트렁크 도어 조절 가능한 차량 모델
현대기아차의 전동식 트렁크(파워 리프트게이트)가 적용된 모델은 대부분 열림 높이 조절 기능이 탑재되어 있습니다.
대표 모델:
- 현대: 팰리세이드, 싼타페, 투싼, 그랜저(고급 트림), 아이오닉5
- 기아: 쏘렌토, 스포티지, 카니발 하이리무진, EV6
※ 트림 및 옵션에 따라 일부 모델은 해당 기능이 제공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4. 조절 방법
4-1. 전동식 트렁크 도어 조절 방법
전동 트렁크가 장착된 현대기아차에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조절이 가능합니다.

- 트렁크를 원하는 높이로 수동으로 조절
전동으로 열린 트렁크 도어를 손으로 원하는 높이까지 내립니다. - 설정 버튼 길게 누르기
트렁크 안쪽의 ‘닫힘 버튼’을 약 3초간 누르면 ‘삐-삐-’라는 소리와 함께 설정이 저장됩니다. - 테스트
트렁크를 닫았다가 다시 열어 원하는 높이로 열리는지 확인합니다.
Tip: 설정 후에도 초기화되면 다시 같은 방법으로 재설정해야 합니다.
4-2. 수동식 트렁크 도어 조절 가능한가?
수동 트렁크 차량은 전동 기능이 없기 때문에 높이 조절이 불가능합니다. 다만, 도어의 댐퍼(쇼바)를 교체하거나 정비소에서 별도 보완 작업을 통해 개선할 수 있습니다.
5. 조절 후 주의사항
- 겨울철에는 유압식 댐퍼의 특성상 트렁크가 설정 높이보다 적게 열릴 수 있습니다.
- 자동 세차 시 트렁크 기능을 OFF로 설정하거나 주의해야 합니다.
- 트렁크 닫힘 시 장애물 감지 기능이 꺼져 있으면 사고 위험이 있으므로 반드시 확인하세요.
6. 자주 묻는 질문(FAQ)
Q1. 차량 배터리 교체 후 설정이 사라졌어요.
A. 네, 배터리 교체나 방전 시에는 설정이 초기화되므로 다시 설정해야 합니다.
Q2. 키가 작아서 버튼을 누르기 어려워요.
A. 트렁크 손잡이에 고리나 끈을 부착하거나, 별도의 연장 부품을 사용하면 편리합니다.
Q3. 열리는 속도도 조절 가능한가요?
A. 일부 고급 차량은 트렁크 열림 속도도 설정 메뉴에서 조절 가능합니다. 메뉴를 확인해보세요.
7. 내 몸에 딱 맞는 세팅
트렁크 도어 열림 높이 조절은 단순하지만 일상에서 큰 편리함을 주는 기능입니다. 특히 좁은 주차 공간이나 사용자 신체 조건에 따라 맞춤 설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하죠.
오늘 알려드린 방법을 따라 직접 조정해보시고, 내 차를 더 편리하게 사용해보세요!
'유용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5분이면 끝! 치약 하나로 자동차 유리 유막 제거하는 법 (2) | 2025.04.21 |
---|---|
기아 카니발 기어 잠김 시 해결하는 방법 (0) | 2025.04.20 |
현대기아차 '쉬프트 락 릴리즈'로 기어 N 옮기는 방법 (시동 꺼짐 시 필수 팁) (1) | 2025.04.17 |
에탄올 워셔액 냄새, 왜 이렇게 심할까? 원인과 해결법 총정리 (1) | 2025.04.16 |
현대기아차 전자식 사이드 브레이크(EPB) 잠김 문제 해결 가이드 (2) | 2025.04.15 |